커뮤니케이션 능력(Competence)과 미디어리터러시(Literac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10:02
본문
Download : 커뮤니케이션 능력(Competence)과 미디어리터러시(Literacy).hwp
특히 텔레비전이라는 영상언어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하고 미디어 생산물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미디어교육의 목적이었다. 이같은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미디어교육은 텔레비전 매체의 부정적 influence력에 대한 반운동으로서 처음 되었다.
<표3 > 미디어교육에 대한 용어
용어
특징 및 내용
텔레비전이해훈련
*미국의 MARC(Media Action Research Center)
*종교단체 / 市民운동의 형태
*goal(목표) : 미디어와 사회에 대한 보편적인 이해
*행동goal(목표) : 수용자들의 시청습관 變化
미디어리터러시
*문자해독에 대한 관념에서 출발
->문자를 읽고나서 쓰는 능력, 즉 문자신호체계를 터득하여 메시지를 문자신호로 만들 수 있고 또한 신호를 해독할 수 있는 능력
텔레비전리터러시
*goal(목표) : 텔레비전영상메커니즘의 이해
*행동goal(목표) : 카메라, 조명등의 조작들을 통해 그들의 시각적 사고를 통해 텔레비전의 표현양식으로 영상화할 수 있는 실기훈련 위주
*문자해독의 관점에서 이해가능
비판적시청기술
* culture비평의 맥락
*goal(목표) : 비판적 사고 함양
*텔레비전이해훈련과 텔레비전리터러시 관념의 전제를 통해 가능
*문학비평 분야의 전문가 중심의 용어
* 앞서 살펴본 관념들의 종착지
요컨대, 기존의 미디어교육의 목적은 수용자의 비판적 시청기술을 획득하는 것을 goal(목표) 로 삼고 있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수용자가 보다 비판적이고 분별력있게 선택적으로 미디어를 이용하도록 하는데 미디어교육의 본질적 목적이 있었다. ‘텔레비전이해훈련’, ‘미디어리터러시’, ‘텔레비전리터러시’, ‘비판적시청기술’ 등은 미디어교육의 또 다른 용어로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적 environment 變化, 그리고 인식론적…(drop)
,인문사회,레포트
커뮤니케이션 능력(Competence)과 미디어리터러시(Literacy)
커뮤니케이션능력Competence과미디어리터러시Literacy
다. 그러나 이들 용어들은 서로 중복되는 영역들을 포함하면서도 서로 다른 목적과 내용으로 구분된다된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커뮤니케이션 능력(Competence)과 미디어리터러시(Literacy).hwp( 99 )
%EA%B3%BC%20%EB%AF%B8%EB%94%94%EC%96%B4%EB%A6%AC%ED%84%B0%EB%9F%AC%EC%8B%9C(Literacy)_hwp_01.gif)
%EA%B3%BC%20%EB%AF%B8%EB%94%94%EC%96%B4%EB%A6%AC%ED%84%B0%EB%9F%AC%EC%8B%9C(Literacy)_hwp_02.gif)
%EA%B3%BC%20%EB%AF%B8%EB%94%94%EC%96%B4%EB%A6%AC%ED%84%B0%EB%9F%AC%EC%8B%9C(Literacy)_hwp_03.gif)
%EA%B3%BC%20%EB%AF%B8%EB%94%94%EC%96%B4%EB%A6%AC%ED%84%B0%EB%9F%AC%EC%8B%9C(Literacy)_hwp_04.gif)
%EA%B3%BC%20%EB%AF%B8%EB%94%94%EC%96%B4%EB%A6%AC%ED%84%B0%EB%9F%AC%EC%8B%9C(Literacy)_hwp_05.gif)
%EA%B3%BC%20%EB%AF%B8%EB%94%94%EC%96%B4%EB%A6%AC%ED%84%B0%EB%9F%AC%EC%8B%9C(Literacy)_hwp_06.gif)
커뮤니케이션능력Competence과미디어리터러시Literacy , 커뮤니케이션 능력(Competence)과 미디어리터러시(Literacy)인문사회레포트 ,
Ⅰ. 서론
Ⅱ. 미디어교육에 대한 선행고찰
1. 매스미디어 수용과 미디어교육의 대두
2. 미디어교육에 대한 theory(이론)적 배경
3. 미디어교육 관념에 대한 문제제기
Ⅲ. 미디어교육의 방향 설정 : 커뮤니케이션능력(Competence)
1. 커뮤니케이션능력(Competence)의 관념
2. 미디어교육 적용 원리로서 커뮤니케이션능력(Competence)
Ⅳ. 커뮤니케이션능력(Competence)과 미디어리터러시(Literacy)
1. 미디어발달과 리터러시(Literacy)
2. 미디어리터러시(Media Literacy)로서 정보리터러시(Literacy)
Ⅴ. conclusion
3. 미디어교육 관념에 대한 문제제기
기존에 미디어교육은 다양한 용어들로 불리워져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