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법] 행정행위의 철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7 19:29본문
Download : [행정법] 행정행위의 철회.hwp
즉 감독청이 처분청에 대신하여 그 권한을 행사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감독청에는 내용적으로 대집행적 성질을 가지는 행정행위의 철회권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취소는 행정행위의 원시적 하자를 이유로 하는데 대하여, 철회는 후발적 사유에 기하여 그 효력을 소멸시키는 것이라는 점에서 양자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2. 철회사유와 철회권의 제한
(1) 수익적 행정행위의 철회
① 신뢰보호 원칙에 의한 원칙적 제한
하자있는 행정행위는 그 존속에 대한 상대방의 신뢰가 보호 가치있는 것인 때에는 당해 행위는 그 하자에도 불구하고 그 철회는 제한된다된다.
법령상으로는 철회에 대하여도 취소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Ⅲ. 철회권의 근거 및 철회 사유
1. 철회권의 근거
철회권의 근거는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적극설에서는 법치주의 원리를 들어 철회에도 법률의 근거를 요한다고 한다.
[행정법] 행정행위의 철회
[행정법] 행정행위의 철회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행정법] 행정행위의 철회법학행정레포트 , 행정법 행정행위의 철회
순서
행정행위의 철회
Ⅰ. 서론
행정행위의 철회는 하자 없이 성립한 행정행위를 행정청이 후발적 사유에 기하여 원칙적으로 장래에 향하여 그 효력을 상실시키는 별개의 행정행위이다. 그 밖에도 취소는 처분청과 감독청이 할 수 있으나, 철회는 처분청만이 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취소의 效果는 소급하는데 비하여 철회의 效果는 장래에 향해서만 발생한다는 점 등에서 양자가 구별되고 있다
Ⅱ. 철회권자
행정행위의 철회는 처분청만이 할 수 있다 감독청이 처분청에 철회를 명할 수는 있으나,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직접 당해 행위를 철회할 수는 없다.
행정법,행정행위의,철회,법학행정,레포트
다.
② 철회사유 및 그 …(skip)
![[행정법]%20행정행위의%20철회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B%B2%95%5D%20%ED%96%89%EC%A0%95%ED%96%89%EC%9C%84%EC%9D%98%20%EC%B2%A0%ED%9A%8C_hwp_01.gif)
![[행정법]%20행정행위의%20철회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B%B2%95%5D%20%ED%96%89%EC%A0%95%ED%96%89%EC%9C%84%EC%9D%98%20%EC%B2%A0%ED%9A%8C_hwp_02.gif)
![[행정법]%20행정행위의%20철회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6%89%EC%A0%95%EB%B2%95%5D%20%ED%96%89%EC%A0%95%ED%96%89%EC%9C%84%EC%9D%98%20%EC%B2%A0%ED%9A%8C_hwp_03.gif)
설명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행정법] 행정행위의 철회.hwp( 32 )
[행정법] 행정행위의 철회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그러나 행정행위의 철회는 그를 존속하기 어려운 새로운 사정과의 관련에서 고려되는 것이고 보면, 행definition 법률 적합성이나 공익 적합성 및 새로운 사정에 대한 적응 요청 등을 고려할 때, 철회에도 반드시 법적근거가 있어야 한다는 견해는 타당한 것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철회는 법적근거가 없는 경우에도 허용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