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주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07:36
본문
Download : 성서주석.hwp
(유대교적 메시야관)-수난을 이해하지 못하는 고백은 온전한 고백아님을 강조
교회의 정황-막이 기록되는 시대-AD60년 경 - 네로의 핍박이 심한 시기(64년 로마 대화제 사건)
*마가복음에서는 수난의 종으로서 메시야 강조
마태복음 16:13-27의 내용은 마가복음보다 더 긍정적
고백과 수난예고를 두부분으로 나눔
17-19절은 마가복음에는 없는 구절임:교회론적 관심을 나타내는 부분
베드로의 고백 중-“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첨가
예수님의 反應17-19절 첨가
바요나 시몬-요나의 후손(요나는 스올<음부>에서 나온 사람)
-18절:음부의 권세가 이기지 못함
반석-베드로의 신앙고백,베드로 자신->사도들의 터위에 세움을 받은 교회
멘다.푼다는 말-심판선언…(To be continued )
순서
다. 즉,마가복음에서의 중심점은 제자들의 몰이해에 있따 예수를 메시야로 고백한다 하더라도 수난의 종의 의미를 이해하지 않고도 메시야로 고백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說明)한다.성서주석 , 성서주석인문사회레포트 ,
성서주석
레포트/인문사회



성서주석
ㅇ 편집사연구
편집사란? 편집사는 기자의 편집의도와 그것이 기록되는 당시의 삶의 정황을
연구하는 것. 편집자는 단순한 수집 기록자가 아니라 신학을 가진 신학자
로 생각- 그의 편집의도,신학을 파악하는 것
양식사와 편집사:양식사는 구전시대의 삶의정황 연구,
편집사는 기자가 쓰는 당시의 교회 정황연구
--------------------------------------------------------------------
ㅇ편집사연구로 본 베드로의 신앙고백
마태복음 16:13-28 과 막 8:27-9:1
마가복음:문맥-3 fold repidition
= 수난예고->제자들의 몰이해->제자직에 대한교훈
그리고, 이 사건 전후에 소경 치유사건이 있음
마가복음에서는 예수님에 대한 고백에 대한 예수님의 反應이 침묵 명령이다.설명
성서주석에 대상으로하여 알아보고 있습니다.
Download : 성서주석.hwp( 68 )
,인문사회,레포트
성서주석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습니다.